그린채널

Green Media

캐릭터의 TMI를 알아보자! _ 마리오
작성일: 2021.01.04
조회수: 9059


안녕하세요! 그린컴입니다 :)

탄생배경, 그래픽 변화, 설정 등 캐릭터의 TMI를 이야기해보는 첫 번째 시간인데요.

오늘은 그 누구나 한번쯤은 게임으로 플레이해봤을, 안해봤더라도 얼굴은 알고 있을 마리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처음부터 마리오가 아니었다



점프맨

[출처 : Ganzo]

마리오는 닌텐도에서 발매된 비디오 게임인 동키콩에서 처음 등장하였는데요.

그 당시에는 이름조차 가지고 있지 않아 점프맨으로 불리던 하나의 조연 캐릭터에 불과하였습니다.

동키콩 게임 창시자인 미야모토 시게루는 마리오를 '미스터 비디오'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해요.



마리오 시갈리(1934~2018)

[출처 : 더위키]

그러던 중 동키콩이 미국 시장으로 진출하게 되었고 게임의 성공을 대비하기 위해

점프맨에게 이름을 붙여주기로 결정하였다고 합니다.

그렇게 닌텐도 미국지사가 한창 회의를 거듭하던 어느 날,

마리오 시갈리라는 건물 주인이 밀린 건물 임대료를 받기 위해 사무실로 들이닥쳤고

점프맨의 캐릭터와 비슷한 외관을 가진 그를 본 순간 임원진들은 그의 이름을 따와야겠다고 결정했습니다.

그렇게 점프맨, 미스터 비디오는 마리오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이죠.

직업이 바뀌다

 


동키콩 [출처 : 위키피디아]

동키콩이 게임 시장에서 성공을 하게 되며 자연스럽게 마리오의 인지도와 인기 또한 높아졌는데요.

그렇게 마리오는 동키콩에서 벗어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라는 게임으로 다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그의 직업 또한 바뀌게 되었죠.

동키콩의 조연, 마리오는 당시 목수로 설정되었습니다.

그 이유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으나 동키콩의 배경이 건설현장이기 때문에

관련 직업 중 하나로 지정되었을 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하네요.

하지만 그 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에서 마리오가 활약하는 무대 배경이 하수구로 정해지고

파이프가 게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면서 마리오는 배관공이라는 직업을 가지게 되었답니다.

괴물들이 튀어나온다는 신고를 받고 하수구로 들어가 그들을 퇴치한다는 내용 상

가장 적합한 직업을 잘 만난 것 같죠?!

마리오의 모습은 한결 같았을까

동키콩이 출시된 1981년도, 마리오가 처음 등장한 때로부터 4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리오의 모습도 그동안 변화를 거쳐왔겠죠.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출처 : 플레이무비 (미디어캐슬)]

초기 마리오는 당시 낮은 게임 그래픽 성능의 이유로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데요.

8x8, 64 픽셀로 캐릭터를 구성하여야 하는 상황 때문에 표현하는데 한정적인 부분이 많았죠.

미야모토는 "코를 그리고 수염을 그리면 입인지 수염인지 알 수 없으니 수염만 그려 도트를 절약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머리카락을 다 그릴 수 없어 모자를 씌어 도트를 절약했다." 등과 같은 개발 비화를 전하기도 했습니다.

즉, 그래픽적인 제한 덕분에 단순하면서도 마리오만의 독특한 외형을 갖게 된 것이죠.

이 뿐만 아니라 닌텐도가 개발한 가정용 16비트 게임기인 패미컴에서는

64 픽셀 안에서 색을 제한적으로 쓸 수밖에 없었는데요.

그런 제한 속에서 달리는 애니메이션을 위해 팔, 다리를 움직인다는 것을 보이고 싶었던

개발자들은 팔, 다리와 몸의 색을 다르게 나타내기로 하였죠.

그렇게 해서 모자와 작업복의 빨간색, 수염과 신발의 회색, 피부색,

단 세 가지 색만으로 구성된 마리오가 등장하게 되었답니다.

그 이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USA 부터는 작업복과 안에 입는 옷의 색깔이 바뀌어

현재와 같은 파란 작업복과 빨간 상의, 모자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슈퍼 마리오 오디세이 [출처 : Digital Spy]

이렇게 만들어진 기본 모습을 바탕으로 매 시리즈별로 그래픽이 조금씩 상향되었고

3D 플랫폼의 비디오 게임이 등장하면서 최근에는 마리오의 모습을 3D로도 볼 수 있게 되었는데요.

마리오를 예전부터 즐겨왔던 분이라면 조금씩 변해가는 그의 모습을 통해 재미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제한된 그래픽 성능으로 인해 기본 모습을 갖추게 되었던 마리오가

이제는 생동감 넘치는 모습과 애니메이션으로 즐거움을 가져다주고 있는 것이죠!


한 게임의 이름 없는 조연으로 시작하여

수많은 시리즈를 통해 이제는 비디오 게임계의 스타가 된 마리오의 TMI 잘 보셨나요?

몰라도 게임을 즐기는데에는 전혀 상관없지만 이렇게 마리오의 뒷 이야기를 알게 되면서

더 즐겁게 게임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럼 다음 TMI의 주인공은 누구일지 기대해보면서 다음에 또 만나요~

<내용출처>

http://maidsuki.egloos.com/4208794

https://namu.wiki/w/%EB%A7%88%EB%A6%AC%EC%98%A4(%EB%A7%88%EB%A6%AC%EC%98%A4%20%EC%8B%9C%EB%A6%AC%EC%A6%88)






목 록

빠른상담

이름

지점선택

연락처

- -

이메일

@

상담내용

2023 강남(본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신도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노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인천(부평)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4 인천(청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수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의정부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청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둔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중앙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울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부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역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종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신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부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양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성남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전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동성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교보타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
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강남(본점)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회계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