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채널

Green Media

[디자인 이슈] 한글날 맞아 소개하는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자디자인의 힘, ‘2023 외솔 국제 타이포그래피 어워드’
작성일: 2023.10.10
조회수: 3771

 

문자의 원형으로서 울산 반구대 암각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새로운 시각예술로 승화한 타이포그래피 작품을 국제적으로 공모, 한글날을 맞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한글과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자디자인을 소개하는 ‘제1회 울산 외솔 국제 타이포그래피 어워드’의 수상작이 선정됐다. 

 

전시 전경

 

 

한글날 개최되는 ‘외솔 한글 한마당 축제’의 일환인 ‘외솔 국제 타이포그래피 어워드’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한글 언어와 다양한 문자 디자인을 선보이고 이를 알리고자 마련된 행사로, 국제 타이포그래픽 작품을 공모, 이를 통해 문자의 원형으로서 그 의미를 재조명하고 새로운 형태의 시각예술로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 

 

외솔 국제 타이포그래피 어워드 포스터 이미지 (디자인: 김창식 교수)

 

 

한글의 국제 타이포그래피 디자인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형식에 관계없이 독창적인 영감, 창의성, 장인정신을 보여주는 창의적이고 수준 높은 작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외솔 국제 타이포그래피 어워드’의 시작은 2020년 열린 ‘국제문자포스터전’ 초청 전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국내 박물관과 학교, 디자인 전문기관 등 3개국을 순회하며 열리고 있는 이 전시는 해외 특별 초청 여행전을 개최를 통해 한글의 세계화에 기여하고 있다. 

 

 

전시 전경

 

 

전세계의 역량 있는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선정, 전시하는 이번 행사에서는 세계 유명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들의 창의력과 문자의 무한한 가능성을 감상할 수 있다. 이번 행사의 큐레이터 및 디자인 디렉터는 김창식 미국 산호세주립대학교 그래픽디자인과 교수가 맡았다. 

 

이번 어워드는  ‘포스터 디자인’이라는 형식을 통해 문자와 이미지의 개념적 통합인 타이포그래피 오디세이의 가치에 대한 국제적인 평가기준으로 국내외의 작품들을 심사, 수상작을 선정했다. 총 21개의 본상과 140여 점의 입선작이 발표됐으며, 수상자들은 상장과 함께 총 25,000달러의 상금을 수여받게 된다. 

 

 

전시 전경

 

 

수상작들의 작품은 종이 책과 디지털 버전으로 출간되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두 가지 형식의 전시가 이루어진다. 온라인 전시는 울산문화예술회관 전시장에서 10월 4일부터 9일까지 진행, 학생, 교수, 디자이너 수상자들의 뛰어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온라인 전시는 홈페이지 https://www.oesoltypo.org/2023/awardee-list 및 이벤트 아카이브 https://www.oesolty-po.org/2023/exhibition-award에서 진행되며, 영구적으로 수상작을 감상할 수 있다.  

 

전시 기간 동안에는 해외 및 국내 강연자를 초청, 글자와 이미지, 한글디자인에 대한 다양하고 심도 있는 국제학술대회도 개최한다. 스위스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디자인과 자연, 사회의 연관성에 주목하는 사비나 오버홀저와 레나토 타글리(Sabina Oberholzer & Renato Tagli)의 ‘자연과 창의성, 그리고 감성의 관계’, 독일 디자인 연맹의 회장이자 그리샨 공동회장, 코한 앤 파트너의 대표인 보리스 코한(Boris Kochan)의 ‘디자인의 전환점: 급변하는 도전적 시대의 디자인과 정체성’,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스텐리 웡(Stanley Wong)의 ‘실험 타이포그래피 (글자와 이미지): 시각적 변신’, 1세대 한글디자인의 대표자인 한재준 교수의 ‘훈민정음 감상법’ 등의 강연이 펼쳐진다. 

 

울산문화예술회관 전경

 

 

이번 어워드의 시상식은 전시가 시작되는 10월 7일 오후 6시 울산문화예술회관 2층 제1전시장에서 열리며, 10월 8일에는 울산시립미술관 다목적홀에서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수준 높은 국제 석학들의 강연이 펼쳐지는 학술대회가 무료로 진행된다.  

 

 

에디터_ 최유진 편집장(yjchoi@jungle.co.kr) 

사진제공_ 외솔 국제 타이포그래피 어워드 

목 록

빠른상담

이름

지점선택

연락처

- -

이메일

@

상담내용

2023 강남(본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신도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노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인천(부평)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4 인천(청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수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의정부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청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둔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중앙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울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부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역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종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신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부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양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성남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전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동성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교보타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
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강남(본점)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회계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