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채널

Green Media

[디자인 화제] 안동시, 국내 최초 관광거점도시 시각화한 통합VI 디자인 공개
작성일: 2023.12.05
조회수: 3356

 

안동문화관광단지 유교랜드 전경 (사진제공: 안동시)
 


관광거점도시 경북 안동시(시장 권기창)가 안동의 다양한 관광 및 도시 자원을 통합한 안동시 통합VI (Visual Identity)디자인을 공개했다.

VI(Visual Identity)란 타 지역과 차별화되는 지역의 문화와 전통을 시각적인 디자인 요소로 표현하는 응용시스템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포르투갈의 포르투, 미국의 아이러브뉴욕 등이 있다.

기존 안동시의 도시 이미지는 하회탈 외에 안동을 상징하는 측면의 디자인 확장이 어렵고,일관성이 부족한 공공 디자인 시설물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다.

이에 시는 관광거점도시 안동을 시각화하고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종합적인 시각화 사업을 추진, 
지난 22 5 공공 브랜딩 전문회사 엑스포디자인브랜딩과 함께 안동의 도시 이미지를 구축하는 통합VI 디자인 개발에 착수했다.

안동시 통합VI 국문형 비주얼 로고
 


안동시는 훈민정음 해례본의 고장, 안동시의 지역 아이덴티티를 알릴 수 있는 국문형 비주얼로고로 안동의 고유한 정체성을 담아냈다. 안동의 한글초성 ‘ㅇ,ㄷ’과 한글 종성 ‘ㄴ,ㅇ’을 메인 모티프로 미래지향적인 역사문화도시 안동의 정체성을 표현했다. 마주보고 있는 ‘ㅇ’은 안동시민과 관광객, 과거와 현재를 잇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안동시 통합VI 영문형 비주얼 로고
 


또한 대한민국 대표 유네스코 유산 관광도시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영문형 비주얼 로고를 공개했다. 영문형 비주얼 로고는 양쪽의 ‘N’을 ‘날개’로 형상화에 세계적인 문화유산과 정신문화의 역사를 보유한 안동시의 글로벌 위상을 나타냈으며, ‘DO’에 포인트를 주어 안동시의 미래지향점과 생동감을 담았다.

안동시 통합VI 비주얼 아이콘 10종
 


안동 비주얼 아이콘은 국·영문형 비주얼 로고와 일관된 톤앤매너를 유지하며 안동의 다양한 자산으로 확장가능한 디자인으로 구성했다. 비주얼 아이콘은 메인 컬러인 블루와 레드 컬러의 연결과 조화로 안동의 대표 유·무형 자산을 형상화했다.

안동 비주얼 모자이크 패턴은 안동의 ‘문화’, ‘정신’, ‘자산’을 담은 아이덴티티 요소로 구성했다.

안동의 '문화'를 담은 비주얼 모자이크 패턴 및 적용 이미지
 


안동의 ‘문화’를 담은 비주얼 모자이크 패턴은 안동을 대표하는 공연 문화 ‘하회별신굿탈놀이’이 탈춤과 그 춤사위의 유려한 선, 즐거움 등을 기존 관광브랜드인 ‘스마일 포에버’와 결합하여 표현했다.

안동의 '정신'을 담은 비주얼 모자이크 패턴 및 적용 이미지
 


안동의 ‘정신’을 담은 비주얼 모자이크 패턴은 안동의 한글 자모음과 옛 한글을 패턴화하여 한국 정신문화 수도 안동시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자음과 원의 결합으로 안동시민과 관광객의 모습을 나타냈다.

 

안동의 '자산'을 담은 비주얼 모자이크 패턴 및 적용 이미지
 


안동의 ‘자산’을 담은 비주얼 모자이크 패턴은 안동의 대표 관광자산인 하회마을, 월영교, 안동소주 등 볼거리, 먹을거리, 즐길거리가 가득한 안동의 다양하고 매력적인 역사문화관광요소를 패턴 디자인으로 형상화 했다.

 

 

 

안동시는 대국민 및 시민 온·오프라인 조사와 관련 전문가 및 자문위원 의견수렴 등의 절차를 거쳐 최종 통합 VI(Visual Identity) 디자인을 선정했다. 안동시는 통합VI 및 비쥬얼 요소를 활용한 안동시 도시브랜딩 및 홍보마케팅 전략을 토대로 다양한 관광 홍보 및 도시 이미지 경관 개선 등에 통합VI를 활용할 예정이다.

 

안동시 통합VI 비주얼 모자이크 패턴이 적용된 안동시청 정문 (사진제공: 안동시)

 

 

안동시 기획예산실 관계자는 “ 안동시만의 도시 정체성과 차별화된 도시 이미지 구축을 위해 오랜 시간 고민하여 안동시만의 비쥬얼 아이덴티티를 만들었다” 며 “ 기존 관광브랜드와 조화롭고, 안동의 도시 정체성을 강화하는 비쥬얼 로고와 모자이크 패턴으로 안동을 찾는 분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선사하겠다”고 전했다.

글_박아름 취재기자(par@jungle.co.kr)

사진제공_ 안동시청, (주)엑스포디자인브랜딩 

목 록

빠른상담

이름

지점선택

연락처

- -

이메일

@

상담내용

2023 강남(본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신도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노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인천(부평)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4 인천(청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수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의정부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청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둔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중앙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울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부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역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종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신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부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양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성남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전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동성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교보타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
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강남(본점)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회계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